콘텐츠로 건너뛰기

최세진의 『훈몽자회訓蒙字會』(1527)

  최세진의 『훈몽자회訓蒙字會』는 1527년(중종 22)에 역관이던 최세진崔世珍이 어린이들의 한자 학습을 위하여 편찬한 책으로 이 책 범례凡例에 ‘언문자모諺文字母’를 실어 그 당시 한글 체계와 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붙였다. ‘언문자모’는 한글 자모의 순서를 정리하여 정착시켰으며 자모의 명칭을 정하였고 이두로 신문자 사용법을 설명하여 한글을 보급하는데 기여하였다.


諺文字母 俗所謂 半切二十七字(언문자모 속소위 반절이십칠자)


(가) 初聲終聲通用八字(초성종성통용팔자)


ㄱ(其役) ㄴ(尼隱) ㄷ(池末)  ㄹ(梨乙) ㅁ(眉音) ㅂ(非邑) ㅅ(時衣) ㆁ(異凝)


末 衣 兩字只取本字之釋俚語爲聲


其尼池梨眉非時異八音用於初聲


役隱末乙音邑衣凝八音用於終聲


(가)는 초성과 종성으로 두루 쓰이는 글자 8자를 든 것이다. ‘其役, 尼隱…’ 등에서 ‘其, 尼…’류와 ‘役, 隱…’류는 각각 초성에서 쓰였을 때의 음가와 종성에서 쓰였을 때의 음가를 예시하는 글자인데, 그것이 결합되어 자연스럽게 글자의 이름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각 자음에 모음 ‘ㅣ’와 ‘ㅡ’를 결합시킨 음을 기준으로 삼았는데 마침 한자에는 ‘윽, 읃, 읏’에 해당되는 글자가 없어서 각각 ‘役(역), 末(귿), 衣(옷)’를 사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 하나, 자음의 배열 순서에 있어 『훈민정음』의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에 따른 순서인 ‘ㄱ ㅋ ㆁ ㄷ ㅌ ㄴ…’가 아니라 현재와 같은 ‘ㄱ ㄴ ㄷ…’ 순서를 취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을 요한다.



(나) 初聲獨用八字(초성독용팔자)


ㅋ(箕) ㅌ(治) ㅍ(皮) ㅈ(之) ㅊ(齒) ㆁ(而) ㅇ(伊) ㅎ(屎)


箕字亦取本字之釋俚語爲聲


(나)는 초성으로만 쓰이는, 즉 받침으로는 쓸 수 없는 8자를 제시한 부분이다. 바로 (나) 때문에 최세진은 ‘終聲復用初聲’이라는 훈민정음의 규정을 왜곡시킨 장본인이라는 오해를 한동안 받게 되었다. ‘기역, 니은’의 사례에 비추어 (나)에서 ‘키(箕), 티(治), 피(皮), 지(之), 치(齒), ㅿㅣ(而), 이(伊), 히(屎)’가 해당 자음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을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다) 中聲獨用十一字(中聲獨用十一字)


ㅏ(阿) ㅑ(也) ㅓ(於) ㅕ(余) ㅗ(吾) ㅛ(要) ㅜ(牛) ㅠ(由) ㅡ(應 不用終聲) ㅣ(伊 只用中聲) ·(思 不用初聲)


(다)는 중성의 음가를 보여 주고 있는데, 음가를 나타내는 ‘아(阿), 야(也), 어(於), 여(余)’ 따위가 이후 해당 중성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여기서도 훈민정음의 ‘· ㅡ ㅣ ㅗ ㅏ ㅜ ㅓ’ 순서가 아니라 ‘ㅏ ㅑ ㅓ ㅕ···’로 순서가 바뀌었음을 볼 수 있다.



(라) 初中聲合用作字例(초중성합용작자예)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ㄱ+ㆍ


以ㄱ(其)爲初聲以ㅏ(阿)爲中聲合ㄱㅏ爲字則가此家字音也又以ㄱ(役)爲終聲合가ㄱ爲字則각此各字音也餘倣此


(라)는 자음과 모음을 합해서 글자를 만드는 방식을 설명하는 부분으로, 초성 ‘ㄱ’을 각 모음과 합자한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ㄱ+ㆍ’를 예시하고 있다. 이같은 방식으로 ‘ㄴ, ㄷ, ㄹ…’ 등에 각 모음들을 합자해 가면 ‘반절(反切)’ 또는 ‘본문(本文)’으로 불렸던 언문익힘표가 된다. 이후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ㄱ+ㆍ/ 나냐너녀노뇨누뉴느니ㄴ+ㆍ/ 다댜더뎌도됴두듀드디ㄷ+ㆍ/ …’와 같이 ‘반절’을 소리내어 외어 가며 언문을 익히도록 하는 교육 방식이 일반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라)에는 종성자의 합자법도 설명되어 있다. 예컨대 ‘가’에 ‘ㄱ’을 합하여 ‘각’자를 만들고, 나머지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합자하라고 설명하였다.



(마) 初中終三聲合用作字例(초중종삼성합용작자예)


간(肝)갇(笠)갈(刀)감(枾)갑(甲)갓(皮)강(江)


ㄱㅋ下各音爲初聲ㅏ下各音爲中聲作字如가갸例作一百七十六字以ㄴ下七音爲終聲作字如肝至江七字


(마)는 초·중·종성을 합자하여 만든 글자들을 예시하고 있다. (라)에서 설명한 ‘각’과 ‘간(肝) 갇(笠) 갈(刀) 감(枾) 갑(甲) 갓(皮) 강(江)’ 등은 ‘가’에 8종성이 결합된 예들이다. ‘ㄱ, ㅋ’ 이하 각 초성에 ‘ㅏ’ 이하 각 중성자를 합하여 ‘가갸’와 같이 만들면 모두 176자가 된다고 하였다(초성 16자×중성 11자=176자). ‘ㄱ’ 이하 7 자음이 종성이 되어 글자를 만드는 방식은 ‘간~강’과 마찬가지라고 하였다.



(바) 唯ㆁ之初聲與ㅇ字音俗呼相近故俗用初聲則皆用ㅇ音若上字有ㆁ音終聲則下字必用ㆁ音爲初聲也ㆁ字之音動鼻作聲ㅇ字之音發爲喉中輕虛之聲而已故初雖稍異而大體相似也漢音ㆁ音初聲或歸於尼音或ㆁㅇ相混無別


(바)는 초성의 ‘ㆁ’이 ‘ㅇ’과 비슷하여 초성에서는 모두 ‘ㅇ’을 쓰고, 만약 앞글자의 종성이 ‘ㆁ’음일 때는 뒷글자의 초성에 ‘ㆁ’을 쓴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새로운 규정이 아니라 흔히 그렇게 쓰고 있다는(俗用)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이기문에서는 만약 최세진이 당시의 현실을 엄밀히 반영했다면 ‘ㆁ’을 ‘초성종성통용팔자’에 넣는 대신 ‘종성독용일자'(終聲獨用一字)라고 했을 것이라고 하였다.






ⓒ 2007 by 방형준(才誠)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